이상 [날개] 애니로 만들어봄 (역대급)

2024/01/07 に公開
視聴回数 608,100
0
0
#날개 #이상 #모더니즘 #모던

시대를 올바르게 살아가는 방법

편집 : 너동부장관 (김엽)
디자인 : 너동부차관 (박혜진)
각색 보조 : 너동부국장 (김민정)

[참고 문헌]
* 인용은 따로 본문에 각주로 표기합니다
* 꺽쇠 괄호 표기X

권영민. 2009. 이상 텍스트 연구. 뿔
차혜영. 2004. 1930년대 한국문학의 모더니즘과 전통 연구. 깊은샘
조해옥. 2016. 이상 산문 연구. 서정시학
김주현. 1999. 이상 소설 연구. 소명출판
조해옥. 2001. 이상 시의 근대성 연구. 소명출판
이화경. 2007. 이상문학에 나타난 주체와 욕망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정보
신범순. 2013. 이상 문학 연구. 지식과교양
신범순 외 다수. 2006. 이상 문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 역락
조영남. 2023. 이상은 이상 이상이었다. 한길사
권영민. 2017.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탄생. 세창출판사
김명옥. 2000. 한국 모더니즘 시인 연구. 한국문화사
강인숙. 2006. 일본 모더니즘 소설 연구. 생각의나무
김진석. 2016. 한국 모더니즘 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박이정. 2002. 모더니즘 문학의 병리성 연구. 역락
서준섭. 2017. 한국 모더니즘 문학 연구 (개정판). 역락

이하 논문
강동호. (2022). 이상의 모조기독-이상 문학에 나타난 기독교 모티프와 자본주의 비판-. 사이間SAI,(33), 257-299.
강숙영. (2019). 이상, 날개에 구현된 헤테로토피아와 ‘은화’의 의미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76), 5-26.
권희철. (2022). 도스토예프스키의 독자로서의 이상(李箱). 한국문예비평연구,(74), 133-167.
김대웅. (2019). 이상 문학과 요코미쓰 리이치(横光利一)― 소설 날개를 중심으로. 이상리뷰,(15), 5-33.
김동철. (2006). 祝畵. 철학연구,, 27-27.
김미영. (2020). 이상의 날개- 니체의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의 문학적 반영. 한국문예비평연구,(65), 67-88.
김상현. (2021). 이상 시의 양자역학적 독법 가능성. 이상리뷰,(17), 1-36.
김상현. (2022). 이상 시에서의 5차원 의미와 양자-행렬의 대칭성과 확률성 - 線에關한覺書 3의 양자-행렬 역학적 독법 가능성. 한국시학연구,(70), 87-158.
김성수. (2021). ‘이상’ 텍스트의 독해와 해독을 향한 문학적 여정- 이보영의 이상 평전-암호적 예술의 숲을 찾아서(2016)에 대하여. 이상리뷰,(17), 293-306.
김성수. (2023). 이상 시 읽기의 계보학과 시노그래피의 해석 시각 – "나는 장난감 신부와 결혼한다"(이상·박상순, 2019)에 대하여. 이상리뷰,(19), 291-308.
김영건. (2023). 이상 시에 나타난 공간 표상 연구. 우리어문연구,(76), 7-31.
김원희. (2011). 이상 날개의 인지론적 연구와 탈식민주의 문학교육. 한국민족문화,(41), 3-31, 10.15299/jk.2011.11.41.3
김유희. (2019). 이상 시에 나타난 파상력과 비(非)신화적 세계의 생명성. 현대문학의 연구,(69), 331-376.
김윤섭. (1984). 카프카의 ‘변신’과 이상의 ‘날개’에 나타난 구심성과 원심성. 카프카연구, 1, 306-347.
김정현. (2020). 1930년대 모더니즘 텍스트의 알레고리적 양상 연구(1) - 이상과 박태원의 예술가적 자의식과 사소설적 연애담에 대한 일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62, 179-229.
김종건. (2004). 이상 소설의 공간설정과 작가의식-날개를 중심으로. 어문학,, 221-249.
김종건. (1989). 이상소설의 배경연구 -날개를 중심으로 -. 우리말글,, 55-74.
김종회. (2017). 이상의 날개와 연구의 방향성. 비평문학,(64), 53-73.
김주현. (2021). 이상과 박태원 문학의 관련성 고찰. 우리말글, 90, 229-254.
김주현. (2020). 이상소설의 실증적 탐구-1930년대 한국모더니즘과 이상, 최재서를 읽고. 이상리뷰,(16), 163-169.
김지나. (2021). 문학 이상, 〈날개〉_무력한 사내, 상실된 자아를 되찾고자. 유레카,(446), 52-57.
김지윤. (2021). 이상 시의 타이포그래피와 20세기 아방가르드-인쇄술과 문화적 액티비즘의 영향에 대한 고찰. 구보학보,(28), 153-196, 10.35153/gubokr.2021..28.005
김청우. (2020). 이상(李箱) 시에서 나타난 가족 갈등과 낙원의 논리. 어문논총,(36), 5-45, 10.24227/jkll.2020.02.36.5
김태화. (2020). 이상의 대표제 이상한 가역반응의 분류학적인 고찰. 이상리뷰,(16), 23-82.
김태화. (2021). 이상의 시 가외가전의 글쓰기 기법과 전문 해석. 이상리뷰,(17), 37-72.
김태희, 유성선. (2023). 『순언(醇言)』의 일상과 이상에 관한 연구 -‘경계(境界)’의 범주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78), 133-150.
김희진. (2015). 서술자를 통한 소설교육방법 연구 - 이상의 날개를 중심으로-. 어문론총,(63), 261-287.
노연숙. (2020). 이상(李箱)의 소설에 나타난 냄새의 의미 - 환시기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77), 145-175, 10.20483/JKFR.2020.03.77.145
노지승. (2021). 이상(李箱) 문학에서의 여성-동물과 여성-인형의 ‘몸’들. 구보학보,(28), 197-230, 10.35153/gubokr.2021..28.006
박상익. (2020). 이상의 날개에서 나타나는 근대적 시간 개념과 미적 근대 공간 연구. 우리문학연구, 67, 211-240, 10.20864/skl.2020.07.67.211
박상준. (2019). 이상 소설과 재현, 그리고 모더니즘-斷髮(遺稿)을 중심으로. 이상리뷰,(15), 141-168.
박선경. (2001). 무의식적 언어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일고찰. 현대소설연구,(14), 205-232.
박신헌. (1997). 이상의 날개, 주제구현을 위한 작품전개방식 연구. 어문학,, 155-174.
박재섭. (2004). 기계시계의 째깍거림과 한국근대소설. 한국학논집, 31, 165-181.
박정희. (2003). 일상의 복귀이며 건강한 삶의 회귀를 갈구한 곳으로 봄, 〈이상의 날개〉. 공연과이론,(10), 102-105.
박한라. (2018). 이상 시에 나타난 ‘무의미’ 연구. 비평문학,(69), 187-209, 10.31313/LC.2018.09.69.187
박현수. (2020). 이상 문학의 역사 · 정치적 독법의 한계와 그 극복. 한국시학연구,(61), 69-95.
박현수. (2019). 최상급 이상 마니아의 연구 결과보고서 --권영민의 『이상문학대사전』(2017). 이상리뷰,(15), 169-180.
박현수. (개최날짜). 이상과 이상 문학의 역사·정치화에 대하여.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개최지.
박혜숙. (2020). 이상 시에 나타난 불안 양상. 이상리뷰,(16), 83-109.
방민호. (2022). 박인환, 그리고 김기림과 이상. 이상리뷰,(18), 55-96.
배선윤. (2020). 이상의 ‘거울’, 환상의 기표에 비친 주체 인식. 이상리뷰,(16), 111-136.
성호정. (2020).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이상 날개 연구. 이상리뷰,(16), 137-162.
송기섭. (2021). 이상의 글쓰기와 ‘나’의 형상들. 현대소설연구,(84), 135-160, 10.20483/JKFR.2021.12.84.135
송민숙. (2003). 두 세계를 잇는 상상의 날개 〈이상의 날개〉. 공연과이론,(10), 142-144.
송민호. (2019). 이상의 경성고공 시절. 이상리뷰,(15), 181-190.
신익호. (2004). 메밀꽃 필 무렵과 말을 찾아서, 날개와 이상의 날개의 상호 텍스트성. 현대문학이론연구,(21), 165-192.
안지영. (2012). 이상 문학에 나타난 분신 모티프와 메타적 글쓰기. 한국현대문학연구, 36, 155-187.
안지영. (2019). 이상의 글쓰기와 현전의 문제. 한국현대문학연구, 57, 173-202.
오상현, 이수정. (2022). 이상 시의 주기경계조건 1– 건축무한육면각체 - 진단 0:1의 파해. 이상리뷰,(18), 1-32.
오영록. (2018). 근대소설 속 개별적 자아와 화폐경제의 상관성. 어문논총,(32), 175-203, 10.24227/jkll.2018.02.32.175
원자경, Ja-Kyung. (2011). 소설텍스트의 읽기능력 신장을 위한 질문 전략 연구 -이상 날개를 중심으로 -. 독서연구,(25), 237-279.
유현수. (2021). 이상 시에 나타난 근대 학문의 의미 고찰- ‘과학’, ‘수학’, ‘의학’을 중심으로. 이상리뷰,(17), 103-131.
이병철. (2022). 보들레르의 ‘댄디즘’과 이상의 ‘모던보이’ 자의식 비교 연구 ― 보들레르 『파리의 우울』과 이상 날개를 중심으로. 국제한인문학연구,(34), 153-187,
주지영. (2009). 두 개의 태양, 그리고 여왕봉과 미망인의 거리. 한국현대문학연구, 27, 89-116.
최서윤. (개최날짜). 분신(alter ego) : 무능한 주체의 장치(invention).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개최지.
최인자. (1996). 이상 날개의 글쓰기 방식 고찰. 현대소설연구,(4), 355-375.
최현희. (2017). 인쇄물 날개와 모더니즘적 글쓰기. 한국현대문학연구, 52, 327-362.
헨리 홍순임. (1998). 이상의 날개; 반식민주의적 알레고리로 읽기. 역사연구,(6), 249-260.
이현정. (2022). 이상 시에 나타난 생태적 상상력. 한국시학연구,(70), 51-84.
장병호. (1997). 닫힌 시대 지식인의 초상-이상의 날개에 나타난 소외의 의미. 비평문학,(11), 378-396. 외 다수